계원예술대학교
전시콘텐츠디자인과
PBL(Project Based Learning)
전시콘텐츠디자인과 문화전시 스튜디오의 PBL 프로그램은
최정심 교수의 교수창업기업인 엠제로랩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교육방식을 제안한다.
다양한 참여기업(기관)과 협력하여 추진되는 PBL수업은
다중 교과목을 연계하여 협업함으로써
학생들이 프로젝트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보다 실무적인 교육을 제공한다.
산학협력의 과정을 통해 진보적이고 혁신적인 탐구를 지속함으로써
학생들이 사회에 나가 활동하게될 미래를 예측하고
준비할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훈련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PBL 교육과정의 결과물로 차별화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며,
미래를 대비하는 힘을 길러낼 수 있다.
전시콘텐츠디자인과 문화전시 스튜디오의 PBL 프로그램은
이렇게 훈련된 인재들이 미래 지역사회에서 비젼을 제시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교육 목표로 운영되고 있다.
PBL :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 교육 방법
(Project-Based Learning)
+
PDCA : 계획(Plan) - 실행(Do) - 점검(Check) - 개선(Act)
PDCA(Plan-Do-Check-Act)는 계획-실행-평가-개선을 의미하는 관리 방식으로, 업무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데 사용됩니다.
PDCA (PLAN, Do, Check, Act)

프로젝트명
미래마을 상상전
프로젝트 연혁

프로젝트 주제
지구환경 (Planet)
전제조건 및 방법
SDGs
파트너십 (Partnership)
7
에너지의 친환경적 생산과 소비
Affordable And Clean Energy
12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Pesponsi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13
기후변화와 대응
Climate Action
14
해양생태계 보전
Life Below Water
15
옥상생태계 보전
Life On Land
7
지구촌 협력 강화
Partenerships For The Goals
번영 (Prosperity)
8
좋은 일자리 확대와 경제성
Decent Work And Economic Growth
9
산업의 성장과 혁신 활성화 및 사회기반시설 구축
Industry, Innovation And Infrastructure
10
모든 종류의 불평등 해소
Reduced Inequalities
11
지속가능한 도시와 주거지 조성
Sustainable Cities And Communities
사람 (People)
1
빈곤층 감소와 사회 안전망 강화
No Poverty
2
식량안보 및 지속가능한 농업 강화
Zero Hunger
3
건강하고 행복한 삶 보장
Good Health And Well-Being
4
모두를 위한 양질의 교육
Quality Education
5
5
성평등 보장
Gender Equality
6
6
건강하고 안전한 물관리
Clean Water And Sanitation
평화 (Peace)
16
평화 • 정의 • 포용
Peace, Justice And Strong Institutions
환경보호
경제개발
전제조건 및 방법
사회발전
현황
State of Affairs
솔루션
Problem Solving
12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Pesponsi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11
지속가능한 도시와 주거지 조성Sustainable Cities And Communities
11
지속가능한 도시와 주거지 조성Sustainable Cities And Communities
11
지속가능한 도시와 주거지 조성Sustainable Cities And Communities
12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Pesponsi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13
기후변화와 대응
Climate Action
13
기후변화와 대응
Climate Action
12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Pesponsi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12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Pesponsi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13
기후변화와 대응
Climate Action
15
옥상생태계 보전
Life On Land
제1회 미래마을 상상전 재료상회편
제2회 미래마을 상상전 도시농업편
제3회 미래마을 상상전 학교농업편
제4회 미래마을 상상전 미래마을여행편
제5회 미래마을 상상전 제로솔루션편
제6회 미래마을 상상전 레드룸편
제7회 고양국제꽃박람회 미래정원: 건조의 시대
제8회 미래마을 상상전 미래식량: 결핍의 시대
제9회 미래마을 상상전 미래마켓편
제10회 사명: 미래를 지키는 사람들
제11회 경기정원문화박람회 문화전시 대안정원, 틈
프로젝트 운영 일정
산학협력 프로젝트 개최 추진
MOU 체결
학기 중
- ( 6개월 ~ 1년 )
2월
3월
기획 리서치
기획 컨펌설계
기획 기회서 작성
기획 기획서 완성
콘텐츠개발 컨셉 설계
콘텐츠개발 디자인
콘텐츠개발 설계
4월
5월
9월
6월
7월
8월
콘텐츠개발 설계
연출 디자인
제작
운송 및 설치
전시 개최 워크숍 운영
평가 (내외부)
전시 철거
아카이빙 웹사이트 및 도록 제작
1월
2월
4월
7월
7월
8월
9월
9월
협력 기관 및 기업
주요성과
2018. 10.
산학협력전시 "미래마을 상상전 2018 - 재료상회편"
(2018. 10. 17. - 10. 28., 서울시 문화비축기지)
2019. 5.
산학협력전시 "미래마을 상상전 2019 - 도시농업편"
(2019. 5. 16. - 5. 19., 관악구와 함께하는 제8회 서울도시농업박람회)
2019. 10.
산학협력전시 "미래마을 상상전 2019 - 학교농업편"
(2019. 10. 9. - 10. 20., 서울시 문화비축기지)
2020. 5.
산학협력전시 "미래마을 상상전 2020 - 미래마을여행편"
(2021. 5. 27. - 5. 30., 중랑구와 함께하는 제9회 서울도시농업박람회)
2021. 5.
수상내역
<사명: 미래를 지키는 사람들>
교육부 장관상 수상
2024 산학협력 우수사례 경진대회 기술협력 분야
<대안정원, 틈> 2024 경기정원문화박람회 문화전시
경기도지사 표창
경기정원문화박람회 최초 문화전시 진행
<미래마을 상상전 2019 - 도시농업편>
서울시 표창
참여학생 18명 표창 수상
산학협력전시 제10회 서울도시농업박람회 주체관
(2021. 5. 27. - 5. 30., 양천구와 함께하는 제10회 서울도시농업박람회)
2023. 4.
산학협력전시 2023 고양국제꽃박람회 "미래정원: 건조의 시대"
(2023. 4. 27. - 5. 8., 고양국제꽃박람회)
2023. 11.
산학협력전시 "미래마을상상전 2023 - 미래식량: 결핍의 시대"
(2023. 11. 2. - 11. 5., 그라운드333)
2024. 6.
산학협력전시 "사명: 미래를 지키는 사람들"
(2024. 6. 27. - 2025. 3. 30., 국립백두대간수목원)
2024. 10.
산학협력전시 2024 경기정원문화박람회 문화전시 "대안정원, 틈"
(2024. 10. 3. - 10. 6., 다산선형공원, 2024 경기정원문화박람회)
협력 기관 및 기업
주요 파트너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