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묘한 이웃
Meow Han 권현영 강희경 김희현 정윤빈

묘한 이웃 TNR 지원 소개 영상
위치 선정
경험을 토대로 서초구정을 대상지로 선정하였고, 서초구 신원동 청룡 텃밭, 채화원 전시 진행 경험을 통해 서초구청 서초구의 주민 의견 조사 및 반영하였습니다.

사용자 분석
하이펄로컬 플랫폼 조사로, 서초구의 캣맘카페와 당근 마켓에서도 캣맘들의 활동이 활발하다는 조사 결과를 얻었습니다.
고양이 용품점 ‘미유파우’에서는 네이버 카페에 겨울집 지원을 합니다.

서초구 캣 맘 들로 하여금 폼을 만들어 투표를 진행하였고, 길고양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주거 관련 문제와 생활 관련, 급식 관련 문제가 제일 비중이 높다는
조사 결과를 얻었습니다.

대상지 분석
대상지는 채화원으로 주민들의 인터뷰 내용과 청계산 입구역 근처의 당근 마켓으로 조사를 진행한 캣 맘들의 활동 내용 그래프


면담 진행
서초구청 동물 복지팀과 캣 맘 카페 의원님을 만나서 면담을 진행하였습니다. 면담 진행을 토대로 전시를 기획하였습니다.
제작되는 급식소는 오프라인 전시로 진행되었으며, 서초구 채화원에 전시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포지셔닝
채화원 방문 후, 디자인하기 전에 고려해야 할 부분들의 핵심 키워드로 포지셔닝 맵으로 정리하였습니다.
크게 습성, 계절, 관리로 나눠, 습성에는 고양이의 특징과 좋아하는 색이 있고, 겨울에는 보온 , 여름에는 방수와 환기 등의 기능을 담았습니다.
관리에는 캣맘들의 급식을 우선적으로 생각하였습니다.

키워드

층마다 발판을 놓아서
고양이들이 안전하게 올라가고
내려갈 수 있게 한다.
급식통을 경첩이 달린 문 안쪽에
설치해서 고양이들이 편하게
먹을 수 있게 하며
캣맘들이 급식에 용이하도록 한다.
뒷면 모서리에 환풍기를 설치해서
내부에도 환기가 잘 되게 하고
문을 통해 여름에도
답답함이 없도록 한다.
묘한 급식소 설명 포스터


묘한 급식소 설명 리플렛

묘한 급식소 모습
묘한 급식소의 제작완성 모델의 전체 완성도

묘한 급식소의 제작완성 모델의 입면도

묘한 급식소의 제작완성 모델의 분해도



묘한 급식소의 설명 패널 모델의 분해도
조립 영상
실제 제작 급식소 모습

실 사용 영상
묘한 엽서



묘한 이웃 가상 전시 공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