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방문자센터 1층 특별전시실
2024.06.27 - 2025.03.30
미래를 지키는 사람들
사명
국립백두대간수목원 x 계원예술대학교 x 엠제로랩 특별기획전
종자를 지키는 이들은 무엇을 하는가
산림생물자원본부 소속 야생식물종자실의 ‘종자수집팀’은 백두대간을 비롯해 전국의 모든 산을 다니면서 권역별로 다양한 종자를 수집한다. 직접 수집한 종자를 시드볼트 및 시드뱅크에 보관하고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채집과 건조, 정선, 실험 그리고 보관 과정까지 거쳐 시설에 들어가게 되는데 이 과정들을 실제 활용하는 도구와 함께 엿볼 수 있다.


수 많은 종자 중에서 이들에게 주목하는 이유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의 2023 종자 자료집 내용을 바탕으로 발췌한 종자이며, 우리나라의 기후와
지형적 특징에 따라 자라나는 토종 종자를 총 다섯 가지 기준 으로 분류하였고, 그 중 다섯 가지
로 나눈 종자 중 대표 종자들을 뽑아 본 전시만의 ‘종자도감’ 을 만들어 그림과 함께 볼 수 있다.

다섯 가지 종자 도감
우리는 국립백두대간수목원 2023 종자보고서를
바탕으로 다섯 가지 종자를 선정하였다.
- 기후변화에 강한/취약한 종자
- 가장 오래된 종자
- 넓은 범위에서 자생이 가능한 종자
- 식용/약용 가능한 종자
.- 보존이 시급한 멸종위기 종자
우리가 주목해야 할 종자의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종자별 상세한 정보는 국립백두대간
수목원 홈페이지에서 만나볼 수 있다.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이 중앙아시아와 협력하는 이유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이 중앙아시아와 협력하는 이유
중앙아시아는 세계의 지붕으로 불리며, 다양한 생태
지역을 포함하고 있어 식물 다양성이 높고 한반도
자생식물과 지리분포 및 계통분류학적으로 깊은
유연관계를 가지고 있다. 국립백두 대간수목원은
중앙아시아 외에도 조지아, 아르메이나 등 유라시아
까지 협력분야를 확장하고 있다.
* 중앙아시아 네트워크 필요성
기후변화와 각종 개발 사업 등으로 인해 생물다양성이
감소하고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식물유전자원의
확보와 보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① 생물다양성이 높은 핵심 분포지
② 시드볼트와 중복보전
50년간의 파괴
_ 식물 18종 멸종, 50여종 멸종위기.
중앙아시아 지역은 다양한 생태계를 기반으로
유전적 다양성의 보고로서 역할을 제공하고 있지
만 최근 50년간 매우 높은 비율로 파괴되고 있다.
* 1단계
2018~2022년까지 중앙아시아 4개국 4개 기관과
협력하여 중앙아시아 현지 종자보전 전문가를 양성
며, 생물다양성이 높은 지역의 야생식물 종자를
수집하여 시드볼트에 저장하였다.
* 2단계
2023년부터는 2단계 사업으로 수집-저장-연구-활
용-현지외보전원 조성까지 포함하는 사업 계획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2단계 협력사업의 시작
2023년도 사업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후
첫 사업이자 2단계 사업의 시작이다. 90종의 수집
목표를 설정하고 각 종별 선정 사유 (희귀·특산식물,
CWR 등)를 명확하게 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①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쉬켄트식물원과 작물재래원종(CWR)
중심의 종자 수집 대상지인 우감차칼 국립공원을 방문
하여 공동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2023년에는 양파,
피스타치오 등 CWR 9종을 포함하여, 81종 81점의
종자를 수집하였다.
③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파미르 생물학연구소와 산림복원을 위한
수집 대상지 파미르고원의 슈혼 지구를 방문하여 공동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2023년에는 귀리 등의 CWR
5종을 포함한 99종 110점의 종자를 수집하였다.
② 키르기스스탄
키르기스스탄 산림생태계개발부와 희귀식물 및 산림 복원을 위한 수집 대상지인 이식쿨 지역을 방문하여 공동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2023년에는 87종 90점의 종자를 수집하였다.
④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산림농업과학연구소와 2022년까지 종자수집 1단계사업을 수행하였으며, 2024년부터 2단계 사업을 협력하고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기후 위기 속 우리 모두가 미래 지구와 씨앗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 SEEDOIT LIST
심기: 당신이 좋아하는 씨앗은?
나누기: “나만의 가드닝 방식 : 나의 (씨앗이름) 생활”
함께하기: 우리가 미래 씨앗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미래를 위해 함께 할 수 있는 일은?
본 전시의 대한 ‘야생식물종자실 질의응답 인터뷰’를 기록한 공간으로,
종자를 위해 노력하는 그들의 생각을 엿볼 수 있다.




